top of page


Flower Well, 2022, acrylic on canvas, 52x42cm
식물성의 오마주(homage)에 진심인 박상숙 작가의 회화는 경험적이고 다원적이며 해체적이다.
이름 모를 꽃과 풀들은 붓질 혹은 드로잉의 연장선상에서 숨바꼭질한다.

꽃우물, 2022, acrylic on canvas, 50x100cm
고유의 인덱스조차 감추어진 결과, 화면에는 불특정한 질서인 자율과 조율의 변주가 펼쳐진다.
딱히 실물의 표본을 따르지 않으면서도 식물성의 생동감이 충만한 정경,
내면에서 비롯된 식물을 닮은 드로잉의 조합이 생경한 경치를 선사하며
작가의 작업에는 '보타닉스케이프(Bptanicscape)'라는 이름표가 붙었다.

Flower Well, 2020, acrylic on canvas, 45x53cm
이처럼 시대의 인식소(Episteme)로도 파지되지 않는 자유로운 영혼의 정원.
그 속에는 각양 생명체로 가득하다.
동물의 자유함을 입고 끝없이 욕망하는 식물성의 정원은
해석의 변주로 충마한 치유의 축제이다.

바사미, 2022, acrylic on canvas, 130x97cm

꽃우물, 2022, acrylic on canvas, 69x69cm
bottom of page